Introduction
항생제는 가축 산업에서 가축의 생산성의 향상과 사료효율의 개선 및 질병과 폐사 발생을 절감시킬 목적으로 광범위하게 이용하였다(Cromwell, 2002). 그러나 많은 나라에서 항생제의 사용으로 인하여 항생제 내성균 발생 등의 부작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항생제의 사용을 규제하거나 금지시키고 있으며 항생제 사용을 대체하기 위하여 유기산, 효소제, 프리바이오틱스, 프로바이오틱스 및 에센셜 오일 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Windisch et al., 2008; Cho et al., 2014; Upadhaya et al., 2014; Zhao and Kim, 2015).
에센셜 오일은 식물의 2차 대사물질로 꽃, 씨앗, 가지, 껍질, 허브, 과일 및 뿌리 등에서 추출되는 휘발성 또는 에테르성 성질을 나타내는 오일로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에서 안전성 및
유익성이 인정되었고 성장촉진, 항염증, 항산화, 식욕촉진 및 소화와 대사작용에 폭넓은 효능을 나타내어 가축산업에 전반적으로 이용하고 있다(Kołacz et al., 1997; Cho et al., 2006; Grela and Semeniuk, 2006;Windisch et al., 2008; Brenes and Roura, 2010; Huang et al., 2010; Yan et al., 2010; Ao et al., 2011).
Oreganum aetheroleum 에센셜 오일은 Oreganum vulgare ssp.를 증기 증류하여 추출하고 페놀성 물질이 풍부하여 항산화, 미생물 억제 및 살균활성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Ecomomou et al., 1991; Tsimidou et al., 1995; Sivropoulou et al., 1996; Adam et al., 1998; Botsoglou et al., 2002). Oreganum aetheroleum 에센셜 오일의 주 성분은 carvacrol 및 thymol로 에센셜 오일내 78 - 82%의 높은 비율로 존재하며(Voslářová et al., 2007), 이러한 carvacrol 및 thymol의 성분으로 인하여 강력한 항산화 및 항병성 활성을 한다(Scalbert et al., 2005).
Khattak et al. (2014)의 연구에 의하면 basil, caraway, laurel, lemon, oregano, sage, tea 및 thyme의 에센셜 오일 복합제를 육계 사료내 첨가시 증체량 및 사료효율이 향상되었고 융모 및 융와의 폭을 개선시킨다고 보고하였고 Zeng et al. (2015)의 연구 또한 이유자돈 사료내 Oreganum aetheroleum 에센셜 오일 첨가시 생산성, 사료효율, 영양소 소화율 및 혈액내 면역물질이 개선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돈 및 자돈 사료내 Oreganum aetheroleum 에센셜 오일의 첨가가 모돈의 번식성적, 자돈의 생산성 및 설사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Materials and Methods
시험동물 및 시험설계
모돈(Landrace × Yorkshire)은 총 12두 공시하였으며, 분만시부터 이유시 (포유 21일)까지 21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1) CON (Antibiotic free diet), 2) ABT (CON + 0.08% Efrotomycin) 및 3) T3 (CON + 0.05% Oreganum aetheroleum essential oil)로 3 처리구이며, 각 4두씩 배치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사료 및 사양관리
사양시험은 단국대학교 시험농장에서 실시하였으며, 시험사료는 NRC (2012)요구량에 따라 배합한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로 임신·포유모돈 사료급여 프로그램에 따라 제한 및 무제한 급여 하였으며, 물은 자동급수기를 이용하여 자유로이 먹을 수 있도록 조절하였다.
조사항목
1) 포유모돈 및 포유자돈 생산성
포유모돈의 체중 및 등지방 두께는 개시시(분만시) 및 종료시(포유 21일)에 측정하였다. 사료섭취량은 급여량에서 잔량을 감하여 계산하였고, 등지방 두께는 Piglog 105 (Carometec Food Technology, Denmark)를 이용하여 P2지점 (마지막 늑골에서 좌우 6.5 cm 부위)의 등지방을 측정하였다. 포유자돈의 체중은 생시 및 이유시(포유 21일)에 측정하였다.
2) 이유자돈의 생산성
증체량은 개시시 및 종료시(21일)에 각 개체별로 체중을 측정하였다. 일당사료섭취량은 체중 측정시 사료급여량에서 잔량을 제하여 계산하였고, 사료효율은 일당증체량을 일당사료섭취량으로 나누어 산출하였다.
3) 이유자돈의 분변지수
분변지수는 구간별로 포유 7일, 14일 및 21일에 측정하여 Score로 수치화하여 평균을 내었다(0, nomal; 1, soft feces; 2, mild diarrhea; 3, severe diarrhea, Values in brackets represent mean fecal score).
통계처리
모든 자료는 SAS (2013)의 General Linear Model Procedure를 이용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유의성이 있을 경우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uncan, 1955)로 처리 후 평균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p < 0.05).
Results
1) 포유모돈 번식성적 및 포유자돈 생산성
포유모돈 사료내 Oreganum aetheroleum 에센셜 오일의 첨가가 번식성적 및 포유자돈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은Table 2 에 나타내었다. 포유모돈의 번식성적 및 포유자돈의 생산성에 있어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 < 0.05).
2) 이유 후 자돈 생산성
이유자돈 사료내 Oreganum aetheroleum 에센셜 오일의 첨가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은 Table 3에 나타내었다. 종료시 체중, 일당증체량, 일당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에 있어 ANT 및 ORE 처리구가 CON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 < 0.05).
3) 이유 후 자돈 설사발생
이유자돈 사료내 Oreganum aetheroleum 에센셜 오일의 첨가가 설사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Table 4에 나타내었다. 이유자돈의 설사두수에 있어 CON 처리구가 ANT 및 ORE 처리구보다 많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설사지수 또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Discussion
오늘날 많은 연구에서 가축의 성장촉진, 항염증, 항산화, 식욕촉진 및 소화와 대사작용 등 폭넓은 효능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essential oil을 사용하고 있다(Kołacz et al., 1997; Cho et al., 2006; Grela and Semeniuk, 2006; Windisch et al., 2008; Brenes and Roura, 2010; Huang et al., 2010; Yan et al., 2010; Ao et al., 2011).
본 연구에서는 사료내 Oreganum aetheroleum의 첨가효능을 평가하였고 결과적으로 모돈에서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자돈에 있어 일당증체량, 일당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을 개선시키고 설사 발생 두수 및 설사지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Gertenbach and Bilkei (2001)의 연구에 따르면 이유후 자돈사료내 1,000 mg/kg의 oregano를 첨가시 증체량이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내었고 Walter and Bilkei (2004)의 연구에서는 육성-비육돈 사료내 oregano essential oil 사용시 성장지체 개선 및 면역시스템이 향상된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Walter and Bilkei (2004)의 연구에서 oregano essential oil 유래 carvacrol을 육성-비육돈 사료내 첨가할 경우 일당증체량과 사료효율이 유의적으로 개선된다고 보고하였다. Allan and Bilkei (2005)의 연구에 의하면 모돈 사료내 oregano essential oil을 첨가할 경우 번식성적이 향상된다고 보고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oregano essential oil의 항균성, 항염증성, 항산화 및 식욕 개선 효능이 일당 사료섭취량을 개선시키고 사산율을 감소시켜 생시자돈 수를 개선시켜주는 것으로 추정된다. Bilkei (1995)의 연구 또한 모돈 사료내 oregano essential oil 첨가시 생시자돈수가 개선되었다고 보고하였다. Khajarern and Khajarern (2002)의 연구에서는 모돈사료내 origanum essential oil 첨가시 성장촉진, 소화율 향상, 섭취량 개선을 통한 일당섭취량 증가뿐만 아니라 성장성, 번식성적 및 모유생산을 개선하는 결과를 나타내었고, origanum essential oil의 carvacrol과 thymol 성분이 장내 세포 및 융모의 성장을 촉진시킨다고 보고하였다.
Docic and Bilkei (2003)의 연구에서 포유자돈에 oregano essential oil 사용시 Escherichia coli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고 Burt et al. (2003)의 연구 또한 oregano essential oil의 이용시 많은 장관내 병원균에 대해서 강력한 항균성을 나타내어 oregano essential oil의 이용이 병원성 미생물 저항성에 효과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외에도 Günter and Bossow (1998) 및 Gertenbach and Bilkei (2001)등의 많은 연구에서도 사료내 oregano essential oil의 첨가시 일당증체량, 일당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이 개선된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Simitzis et al. (2010)의 연구에 따르면 양돈 사료내 0.25, 0.5, 1.0 mL/kg의 oregano essential oil 첨가시 생시체중 및 일당증체량에 유의적인 효능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보고하였고, Ariza-Nieto et al. (2011)의 연구에서는 임신돈 및 포유돈 사료내 250 mg/kg의 oregano essential oil 첨가시 생산성 및 면역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이외에도 다양한 연구에서 또한 자돈 사료내 carvacrol 및 oregano essential oil을 첨가시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Neill et al., 2004; Nofrarías et al., 2006; Manzanilla et al.,2006).
양돈 사료내 Oregano의 이용은 설사 예방에 탁월한 효능을 나타내어 성공적인 항생제 대체효과를 가져온다(Baumann et al., 2003). 또한, Giannenas et al. (2003)의 연구에서는 닭콕시듐 공격접종시 육계 사료내 oregano essential oil 첨가구에서 대조구보다 긍정적인 효능이 나타난다고 보고하였다.
많은 연구자들이 oregano essential oil 사용시 항산화, 항미생물 및 항염증 효능을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Azuma et al., 1986; Aeschbach et al., 1994; Didry et al., 1994). 또한 양돈 소화관내에서 소화를 촉진하고 장관대사를 조절하며 항균효능을 통하여 장내 미생물 균총을 정상화 시켜준다(Azuma et al., 1986; Sivropoulou et al., 1996; Günter and Bossow, 1998; Tsinas et al., 1998).
이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통하여 oregano의 주요 생리활성 물질인 thymus 및 carvacrol 성분이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강력한 항균성을 나타낸다는 많은 결과가 보고되어 가축 사료내 Oregano essential oil의 사용시 질병 저항성 및 장관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Cossentino et al., 1999; Lambert et al.,2001; Burt et al., 2003).
이와 같이 많은 연구에서 사료내 에센셜오일 첨가시 가축 생산성이 향상되고 강력한 항균력을 통하여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저항성 및 장내 환경을 개선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 또한 자돈 사료내 Oreganum aetheroleum의 첨가시 에센셜오일의 항균, 항산화, 항염증, 소화와 대사작용 및 장내 융모와 융와의 개선 등의 다양하고 유익한 생리활성 효능을 통하여 자돈의 일당증체량, 일당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이 유의적으로 개선되고 병원성 미생물의 저항성 및 장내 환경 개선을 통하여 설사 발생 두수 및 설사지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모돈에 있어서도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포유기간동안의 등지방 손실, 포유자돈의 성장성 및 폐사율에 있어 개선의 가능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