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act of a reduction in the quality of Shine Muscat on the grape variety market using the Armington model

MANAGEMENT&ECONOMICS
Byung Min Soon1Sumin Cho1Sounghun Kim1*

Abstract

We devised a grape variety model to estimate the impact of lowering the Shine Muscat quality level on the grape market. Shine Muscat has become a popular grape variety in Korea. Accordingly, the area devoted to the harvesting of Shine Muscat has increased dramatically since 2016. Our study examines how a reduction in the quality of Shine Muscat affects other grapes such as Campbell Early, giant peak, and Muscat Bailey A (MBA). The Armington model was used to impose consumer preferences and product differentiation assumptions. We found that a decrease in the consumer preference for Shine Muscat realized by lowering the quality of Shine Muscat largely reduces the price of this variety. Also, the prices of other grape varieties fell via a substitute effect. Moreover, if grape varieties were more differentiated, the reduction in the price of Shine Muscat would be greater, while the decreases in the prices of other grape varieties would be smaller. These results imply that farmers of Shine Muscat must continue with quality management efforts to avoid the negative effect of changing consumer behavior with regard to Shine Muscat against a reduction in its quality. Our model introduces a product differentiation model for the fruit market and helps policymakers and farmers understand the impact of changing market conditions in the fruit market.

Keyword



Introduction

포도는 우리나라 주요 농산물의 하나로 농가의 주요 소득원이 되고 있지만, 농가 고령화와 수입 포도의 시장 잠식 등으로 재배면적이 감소하는 어려움을 겪었다. 2000년 포도 재배면적은 3만 ha에 달하였지만, 지속적인 감소를 통해 2020년에는 재배면적이 13,183 ha로 54.8% 나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포도 생산량 또한 2000년 48만 톤에서 2020년 14만 톤으로 71.4% 감소하였다. 특히 2017년에 시행된 FTA 폐업지원 사업은 포도 농가들의 작목 전환을 촉진시켜, 포도 재배면적이 전년 대비 13% 감소할 정도로 큰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포도산업의 위기는 농가들의 신품종 도입 등을 통한 경쟁력 강화로 극복되고 있다. 특히, 2020년의 경우 샤인머스캣 신규 식재 증가를 통해 전체 포도 재배면적이 전년 대비 4% 증가한 13,183 ha로 우리나라 포도 산업에 새로운 도약을 기대하게 하고 있다. 청포도 종에 해당하는 샤인머스캣은 당도가 17 - 22브릭스(brix)로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과육이 단단하고 식감이 아삭하며 망고와 같은 향이 나서 소비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어 2010년대 중반부터 포도 선도농가들이 도입하여 재배하면서 널리 퍼지고 있다.

최근 샤인머스캣의 인기로 포도 농가소득이 증대하고 있으나 포도 농가들이 품종 전환을 통해 샤인머스캣을 과다하게 식재하고, 전체 공급량이 시장의 수요를 초과할 정도로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저품질 샤인머스캣 포도가 시장에 저가로 출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실제 현장에서는 출하규격(500 - 700 g)을 초과하여 당도가 떨어지는 포도를 시장에 공급하거나, 가지당 2송이 이상 과다 착과하여 품질보다는 생산량을 우선하는 농가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샤인머스캣 포도의 생산 과잉 및 품질 저하 문제는 소비자들이 국산 포도에 대한 실망감을 안겨주어 해당 품종 재배 농가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체 포도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따라서 포도 품종별 적정 공급량과 수요를 구체적으로 예측하여 포도 시장의 건전성을 유지하고 포도 농가들의 적정 생산 및 품질 관리를 유도하기 위한 객관적 근거를 도출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수급을 예측하는 대부분의 농산물 모형은 상품을 동일재(homogeneous good)로 가정하고 있다. Lee 등(2014)은 역준이상수요체계(inverse almost ideal demand system, IAIDS)를 구축하여 포도를 포함한 국내산 과일·과채와 수입 과일의 소비경합구조를 분석하였고, Kim 등(2016)은 수입 과일과 국내산 과일·과채(포도 포함)의 수요체계분석을 통해 한·칠레 FTA 발표 시점인 2014년 전후로 나누어 영향분석을 실시하였다. Yoon 등(2019)은 수입 과일 품목의 다양화에 따른 포도 영향분석을 실시하는 데 있어 포도 품종을 동일재로 가정하여 탄성치를 추정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는 샤인머스캣과 같은 특정 품종의 변화에 따른 포도 시장의 영향분석을 연구하는 데 한계가 된다.

특정 품종의 포도 수급 변화가 포도 품종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는 모형 구축을 위해서는 포도 품종을 동일재가 아닌 이질재로 접근하는 방식이 요구된다. 이를 반영한 연구가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데, Lee 등(2016)은 쇠고기 시장을 한우와 수입 쇠고기로 차별화하여 두 쇠고기 시장의 관계 분석을 통한 차별화 존재 여부를 연구하였다. Soon과 Thompson (2019)은 유럽의 미국 쇠고기 수입개방에 따른 영향 분석을 실시하는 데 있어 미국산 쇠고기와 유럽산 쇠고기는 차별적이라고 가정하고 상품 차별화를 고려하여 관세 하락에 의한 유럽 쇠고기 시장 영향분석을 실시하였다. Thompson 등(2010)은 닭고기를 동일재로 가정하고 무역 효과를 분석하기보다는 국가별 선호 부위가 다르기 때문에 화이트(white)와 다크(dark) 닭고기로 구분하여 나타낼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였다. 선행연구를 종합해보면, 포도 시장에서도 포도 품질 개선 시 대체 수입과일 구매량을 줄일 의향이 절반 이상인 것으로 조사되었기 때문에 특정 포도 품종의 품질 개선으로 인한 다른 포도 품종의 수급 변동 영향분석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Yoon et al., 2019).

본 연구의 목적은 상품 차별화를 고려한 포도 품종별 수급모형을 구축하여 샤인머스캣 품질 저하에 따른 품종별 수급과 가격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는 포도 품종별 수급모형을 통해 샤인머스캣, 캠벨얼리, 거봉, MBA (Muscat Bailey A)의 포도 주요 품종별 생산량을 산출하고, 품종별 수요 및 공급량 수준에 따른 가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아밍턴(Armington) 모형을 통해 포도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와 품종 간 상품 차별화를 반영하였다. 분석에 적용된 시나리오는 샤인머스캣 품질 저하로 인한 소비자 선호도 감소와 포도 품종별 상품 차별성이 존재할 경우를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샤인머스캣 품질 저하에 따른 포도 품종별 수급 영향분석의 결과를 도출하고 과일의 품종별 수급 모형 구축에 대한 고찰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2장에서는 포도 품종별 시장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3장은 분석모형에 대한 이론적 설명과 모형 구조, 파라미터 가정 및 시나리오 설정에 대해 소개하였다. 4장에서는 베이스라인과 시나리오 영향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마지막 5장에서는 연구 결과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Overview of the Korean grape market

우리나라 포도 생산량은 2019년까지 감소하다가 증가세로 돌아섰는데, 이러한 포도 생산규모의 추세 반전은 신품종인 샤인머스캣의 인기에 따른 결과이다. 실제 해당 품종의 재배면적 추이를 보면 2016년 278 ha에서 2020년 2,913 ha로 10배 이상 급증하여 전체 포도생산 규모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Table 1). 포도의 주요품종별 재배면적을 비교하여 보면, 2021년부터 샤인머스캣이 주요 품종인 거봉을 제치고 캠벨얼리에 이어 2번째로 큰 생산 비중을 차지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우리나라 포도 재배 품종의 대부분을 차지하던 캠벨얼리는 2002 - 2021년의 기간 동안 1/3 수준으로 급감하였다.

Table 1. Harvested area of the grape variety (unit: ha, %).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Table_KJOAS_48_04_23_T1.png

Total change of Shine Muscat is from 2016 - 2021.

MBA, Muscat Bailey A.

Source: KREI, 2012.

포도의 품종별 가격은 각각 거래되는 시기에 차이가 있지만, 가격 변화의 추세는 샤인머스캣을 제외하고 유사한 패턴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포도의 연평균 가격을 살펴보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캠벨얼리는 5 kg 당 12,700원, MBA는 5 kg 당 14,200원, 거봉은 2 kg 당 13,200원선을 유지하였다. 반면 샤인머스캣 도매가격은 꾸준히 상승세를 유지하였고, 샤인머스캣은 2017년 2 kg 당 18,584원에서 2020년 2 kg당 24,670원까지 상승하였다(Fig. 1). 특히 2019년의 경우 샤인머스캣 가격이 높은 수준을 유지한 반면 기타 포도 품종별 가격은 하락하여, 샤인머스캣이 포도 농가에 큰 수익을 주는 품종임을 시사하고 있다.

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Fig_KJOAS_48_04_23_F1.png

Fig. 1. Instrument of vacuum concentration.

국내에 수입되는 포도는 국가별로 포도 수입 시기가 다른데, 남반구의 칠레는 상반기에 주로 수입이 이루어지고 북반구의 미국은 하반기에 주로 수입되기 때문에 두 수입산 포도가 전체 포도 수입의 70% 이상을 차지하지만 대체관계는 존재하지 않는다(Fig. 2). 우리나라에 수입되는 포도의 수입량은 한동안 증가하다가 2019년 이후로 다소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다. 국가별 포도 관세율은 국내산 포도 출하 기간에는 계절관세가 부과되고 이외 기간에 수입되는 포도는 무관세로 수입이 되고 있어, 국내 포도의 생산 주기와 관세 체계가 연동되어 있다. 칠레산 포도는 주로 무관세일 때 수입되고, 미국산 포도는 계절 관세율이 적용이 되는 시기와 무관세율 적용 시기 모두 수입된다. 페루산 포도는 대부분 무관세율 적용 시기에 수입된다.

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Fig_KJOAS_48_04_23_F2.png

Fig. 2. Grape variety prices. Source: KAMIS, 2021. MBA, Muscat Bailey A.

Materials and Methods

모형 구축

아밍턴 모형

본 연구에서는 포도 품종별 수급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품종 간 상품 차별화(product differentiation)와 포도 품종별 소비자 선호도(consumer preference)를 고려할 수 있는 아밍턴(Armington) 모형을 적용하였다. 해당 모형은 상품 차별화를 고려한 모형으로 농업 시장뿐만 아니라 다른 산업 및 무역에 많이 적용되고 있는 모형일 뿐만 아니라 무역에서 원산지별 상품 차별성을 논할 때 자주 사용되는 모형 중에 하나이다. 포도 품종별 아밍턴 모형은 총 세 단계로 나누어 Fig.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단계에서는 포도 총 소비량이 샤인머스캣, 캠벨얼리, MBA, 거봉 총 소비량의 합으로 나타나는데, 여기서 σ1i는 각 품종별 대체 탄성치를 의미한다. 2단계에서는 각 포도 품종별 총 소비량은 국내산과 수입산 소비량으로 나눠지고, σ2i는 각 품종별(i) 대체 탄성치를 의미하여 국내산과 수입산 간의 대체 관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값이다. 샤인머스캣을 제외한 캠벨얼리, MBA, 거봉의 출하시기는 미국산 수입 시기와 겹친다. 따라서 해당시기의 국내산 포도 품종별 생산량 비중을 토대로 미국산 수입량을 계산한다. 계산된 미국산 수입량 비중이 해당시기의 국내산 포도 품종별 소비와 대체 가능한 수량이라고 가정하였다. 한편 샤인머스캣 출하시기는 미국산과 칠레산 포도 수입 시기와 겹치기 때문에 칠레산과 미국산 포도를 모두 고려하여 3단계로 나타내며 σ3i은 칠레산과 미국산 포도 대체 탄성치를 의미한다. 델라웨어는 전체 포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0.5%로 작기 때문에 제외하였고, 포도 수입에서는 페루산 포도는 미국산과 칠레산 포도에 비해 비중이 작기 때문에 제외하였다.

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Fig_KJOAS_48_04_23_F3.png

Fig. 3. Grape variety prices. Source: KAMIS, 2021. MBA, Muscat Bailey A.

아밍턴 모형은 대체 탄력성이 일정한 효용함수(constant elasticity of substitution utility function, CES)로 나타낸다. CES 함수는 상품별로 약분리가 가능한 함수(weakly separable function)로 품목마다 소비량이 결정될 수 있다는 가정을 내포하기 때문에 단계별 소비량을 추정할 수 있다. 즉, 다른 품목의 소비량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할 수 있는데, 각 단계별 함수형태는 다음과 같다.

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Eq_KJOAS_48_04_23_eq1.png

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Eq_KJOAS_48_04_23_eq2.png

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Eq_KJOAS_48_04_23_eq3.png (1)

1단계에서는 포도 품종별 총 소비량(Gi), 2단계는 국내산 Di와 수입산 I가 포도 품종별로 결정이 된다. 3단계에서는 Ii가 원산지별로 구분된다. σ1i은 포도 품종별 대체 탄성치, σ2i는 국내산과 수입산 간의 대체 탄성치, σ3i은 미국산과 칠레산 간의 대체 탄성치를 의미한다. δ1, δ2, δ3은 각 단계별 소비자 선호도를 나타내는데, 예를 들어 δ2가 0.5면 소비자가 느끼는 국내산과 수입산의 선호도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만약 δ2가 0.5보다 크다면 소비자는 해당 상품에 대해서 국내산을 수입산보다 더 선호하고, 반대로 δ2가 0.5보다 작다면 소비자는 수입산을 더 선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입산 간의 선호도는 δ3로 나타내는데, 수입산은 미국산과 칠레산으로 이루어졌다고 했을 시 δ3이 0.5면 소비자는 미국산과 칠레산에 대해서 무차별적이고, δ3이 0.5보다 크다면 소비자는 미국산을 칠레산보다 더 선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 CES 함수를 1차 조건에 의해 최적화시키면 각 단계별 함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단계>

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Eq_KJOAS_48_04_23_eq4.png (2-1)

<2단계>

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Eq_KJOAS_48_04_23_eq5.png (2-2)

<3단계>

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Eq_KJOAS_48_04_23_eq6.png (2-3)

1단계에서 포도 품종별 총 소비량이 포도 품종별 상대가격(P/Pi)에 의해 결정이 되고, 2단계는 국내산과 수입산 상대 소비량은 수입산과 국내산 상대가격(PiI/PiD)에 의해 결정된다. 3단계인 수입산 간의 함수는 미국산과 칠레산 수입량은 칠레산과 미국산의 상대 수입가격(Pi, CHII/Pi, USD)에 의해 결정된다. 산출된 함수에 로그를 취한 후 본 연구에서 추정하고자 하는 함수 형태는 다음과 같다.

<1단계>

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Eq_KJOAS_48_04_23_eq7.png (3-1)

<2단계>

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Eq_KJOAS_48_04_23_eq8.png (3-2)

<3단계>

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Eq_KJOAS_48_04_23_eq9.png (3-3)

좌변의 y는 각 단계별 상대 소비량을 나타낸다. βD, I, 1과 βUS, CHI, 1는 국내산과 수입산 간의 대체 탄성치, 미국산과 칠레산 간의 대체 탄성치를 의미하며 소비자 선호도는 βD, I, 0 / βD, I, 1,βD, I, 0 / βD, I, 1을 통해 log(δ/(1-δ))을 산출할 수 있는데, 회귀방정식을 통해 절편값(constant)이 추정되고, 대체탄성치로 나누면 소비자 선호도 δ값이 도출된다. 만약, log(δ/(1-δ))이 0이면 소비자가 느끼는 상품 간 선호도는 무차별적이라고 할 수 있고, log(δ/(1-δ))이 0보다 작다면 소비자는 수입산보다 국내산을 더 선호하는 것이며, log(δ/(1-δ))이 0보다 크다면 소비자는 국내산보다 수입산을 더 선호한다고 할 수 있다.

포도 품종별 모형 구조

포도 품종별 수급모형 구조는(Fig. 4)의 구조 개념도와 같이 공급과 수요측면으로 나누어 구축하였다.

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Fig_KJOAS_48_04_23_F4.png

Fig. 4. Flow chart for the grape varieties market.

공급측면

재배면적은 유목과 성목으로 구분된다. 유목 재배면적(YHAi, t)은 전기 유목 재배면적(YHAi, t − 1), 전기 자체가격(Pi, t − 1), 전기 대체가격(Pj, t − 1), 전기 생산비(FPt − 1)에 영향을 받고, 성목 재배면적(AHAi, t)은 전기 성목 재배면적(AHAi, t − 1), 평년 유목 재배면적(YHAi, t - 1 + YHAi, t - 2 + YHAi, t - 3 / 3), 생산비(FPt)에 영향을 받는다. 단수(YDi, t)는 기술진보의 대리변수인 추세(trend)로 함수를 구축하고, 생산량(QSi, t)은 성목 재배면적(AHAi, t)과 단수(YDi, t)의 곱으로 나타낸다. 수입량(IMi, t)은 아밍턴 모형에서 산출된 값에 의해 결정된다. 포도 품종별 총 공급량(TSi, t)은 생산량과 수입량의 합으로 산출된다.

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Eq_KJOAS_48_04_23_eq10.png (4)

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Eq_KJOAS_48_04_23_eq11.png (5)

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Eq_KJOAS_48_04_23_eq12.png (6)

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Eq_KJOAS_48_04_23_eq13.png (7)

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Eq_KJOAS_48_04_23_eq14.png (8)

수요측면

국내 소비량(QDi, t)은 아밍턴 모형에서 산출된 값에 의해 결정된다. 수출량(EXi, t)은 수출가격(EPi, t)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 수출가격은 국내산 포도 가격(Pi, t)에 영향을 받는다. 포도 품종별 총 수요량(TDi, t)은 국내 소비량과 수출량의 합이 된다.

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Eq_KJOAS_48_04_23_eq15.png (9)

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Eq_KJOAS_48_04_23_eq16.png (10)

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Eq_KJOAS_48_04_23_eq17.png (11)

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Eq_KJOAS_48_04_23_eq18.png (12)

시장균형

각 품종별 가격은 총 공급량(TS)과 총 수요량(TD)이 일치(TS = TD)하는 시장 청산(market clearing)에 의해 결정된다. 포도 품종별 수급 모형을 나타내기 위해 샤인머스캣, 캠벨얼리, 거봉, MBA의 공급 및 수요 함수를 추정하고, 시장 청산을 통해 품종별 균형가격을 산출하였다.

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Eq_KJOAS_48_04_23_eq19.png (13)

기타 과일시장

포도 품종별 시장 영향뿐만 아니라 기타 과일시장과 상호연계가 되도록 구축하였다. 해당 과일 품목은 사과, 배, 복숭아, 단감, 감귤을 포함하고, 5개 품목을 하나의 기타 과일시장으로 가정하여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포도시장 변화가 기타 과일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기타 과일시장 변화 또한 포도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생산함수(QSf, t)는 전기 기타 과일가격(Pf, t − 1), 포도가격(Pp, t − 1), 기타 과일 경영비(FPt − 1)의 함수로 나타낸다. 기타 과일가격은 기타 과일 총 생산량 대비 품목별 생산량을 기준으로 가중 평균하였고, 포도가격도 4개의 포도 품종을 가중 평균하여 산출하였다. 또한 경영비는 기타 과일의 경영비를 생산량 기준으로 가중 평균하여 산출하였다. 소비함수(QDf, t)는 기타 과일가격, 포도가격, 1인당 GDP로 구축하였다. 기타 과일시장도 공급량(QSf, t)과 수요량(QDf, t)이 일치할 때 균형가격이 산출되도록 시장청산을 설정하였다.

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Eq_KJOAS_48_04_23_eq20.png (14)

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Eq_KJOAS_48_04_23_eq21.png (15)

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Eq_KJOAS_48_04_23_eq22.png (16)

파라미터 가정

포도의 품종별 자료 접근성이 낮고, 이와 관련된 연구와 시계열 자료가 적기 때문에 탄성치 추정에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경제학 가정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파라미터를 선정하였다. Table 2와 같이 선행연구 탄성치를 수집한 결과, 공급함수의 자체가격 탄성치 평균은 0.465, 생산비 탄성치는 -0.5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토대로 포도 품종별 자체가격 탄성치를 설정하였다. 수요함수의 자체가격 탄성치 평균은 -0.56, 교차가격 탄성치는 0.11, 소득 탄성치는 0.5이다. 대부분 선행연구는 포도를 단일 품목으로 가정하고 추정을 하였기 때문에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탄성치를 그대로 적용하지 않고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설정하였다.

분석의 주요 대상인 샤인머스캣의 공급 탄성치를 추정하기 위한 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에 직접 추정하기보다는 선행 자료와 가정에 통해 탄성치를 선정(calibration)하였다. 샤인머스캣과 캠벨얼리 재배면적의 자체 탄성치는 MBA와 거봉보다 가격변화에 대한 재배면적 의향에 민감할 것으로 판단하여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자체가격 공급 탄성치는 0.46으로 설정하였다. 캠벨얼리의 경우 샤인머스캣으로의 품종 전환 의향이 크고, MBA와 거봉보다 소비량이 큰 점 등을 감안하여 캠벨얼리 자체가격 공급 탄성치는 0.3, MBA와 거봉의 자체가격 공급 탄성치는 0.2로 설정하였다.

아밍턴 모형을 통해 세 단계로 소비량이 결정되고, 탄성치는 하위 단계로 내려갈수록 크기가 두 배가 되게 설정하였다. 이는 미국 퍼듀대학교에서 운용하는 글로벌 연산일반균형모형(computational general equilibrium, CGE)인 GTAP 모형이 아밍턴 모형을 적용하고 있으며 하위 단계로 내려갈 때마다 대체 탄성치를 두 배로 설정하는 것을 참고하였다(Taheripour and Tyner, 2018). 예를 들어, 국내산과 수입산 대두 대체탄성치가 2라면 수입산 간의 대두 대체탄성치는 4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1단계에서 포도 품종 간 대체 소비보다 2단계 국내산과 수입산 소비 대체에서 가격변화에 따른 소비 민감도가 상승하도록 나타냈다(Table 3). 즉, 단계가 하위로 내려갈수록 탄성치는 두 배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캠벨얼리, MBA, 거봉은 수입산이 미국산밖에 없기 때문에 2단계에서 끝나지만 샤인머스캣은 칠레산과 미국산이 대체되기 때문에 3단계까지 설정하여 탄성치를 설정하였다.

Table 2. Elasticities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Table_KJOAS_48_04_23_T2.png
Table 3. Armington elasticities.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Table_KJOAS_48_04_23_T3.png

MBA, Muscat Bailey A.

시나리오 설정

시나리오 1

시나리오 1은 국내산 샤인머스캣의 품질 저하로 설정하였다. 샤인머스캣 품질 저하는 샤인머스캣에 대한 소비자 선호 변화로 이어져 국내산 샤인머스캣 소비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수입산 포도 및 국내산 기타 포도 품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요측면뿐만 아니라 샤인머스캣으로 전환 및 신규 유입에 따른 재배면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국내산 샤인머스캣 품질 관리 저하는 아밍턴 모형의 2단계(국내산과 수입산 간의 관계)에서 소비자 선호도를 나타내는 δ값을 조정하여 반영하였다.

아밍턴 수요함수에서 절편값(βD, I, 0i)은 CES 함수에서 소비자 선호도를 나타내며 절편값을 높게 조정한다는 것은 log(δ/(1-δ))의 값을 높인다는 의미이므로, log(δ/(1-δ))값을 높이기 위해서는 δ값을 낮춰서 반영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조사한 샤인머스캣에 대한 소비자 만족수준조사에서 소비자의 96.4%가 샤인머스캣을 인지하고 있고, 구매경험도 84.9%로 소비자 선호도가 상당히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소비자 선호도(δ)는 0.9를 베이스라인 파라미터로 설정하였으며 이는 샤인머스캣 소비자 중 90%는 국내산 샤인머스캣을 선호한다는 의미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연구 결과 샤인머스캣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가 2019년 79.1%에서 2020년 70.2%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샤인머스캣 품질 저하로 소비자 선호도(δ)도 10% 감소한 0.8이 되도록 설정하였다. 2단계에서 δ을 낮춘다는 것은 샤인머스캣 품질 저하로 국내산 샤인머스캣보다 수입산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가 높아졌고, 기타 포도 품종 소비 전환도 동시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나리오 2

시나리오 2는 품종별 차별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이는 상품 간 대체관계가 약하다는 것(상품 간 이질성이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비자들이 포도를 품종별로 동일한 상품으로 간주하기보다는 차별적인 상품으로 바라본다면 상대 포도 품종의 가격 변화에 대한 대체 소비 영향은 동일재로 간주할 때보다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품종별 차별성이 커질수록 특정 포도 품종의 가격 상승에 따른 다른 포도 품종의 소비량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 품종별 차별성은 아밍턴 모형에서 1단계(품종별 대체관계)에서 대체 탄성치를 베이스라인(0.3)보다 낮은 0.2를 적용한다(Table 4). 대체 탄성치를 0.3에서 0.2로 조정했다는 의미는 상품 차별성이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Table 4. Scenario assumption.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Table_KJOAS_48_04_23_T4.png

Results and Discussion

베이스라인

2021년 포도 성목면적은 전년 대비 7.5% 감소하나 유목면적은 9.3% 늘어나 총 포도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1.7% 증가한 1만 3,444 ha로 나타났다(Table 5). 특히, 샤인머스캣 성목면적은 전년 대비 23.1% 증가하고, 유목면적은 46.5% 증가하여 샤인머스캣 재배면적은 3,752 ha로 나타났다. 이는 샤인머스캣 가격이 다른 포도 품종 대비 높아 기존 포도 농가의 품종 전환 및 신규 농가의 진입이 증가한 결과로 판단된다. 샤인머스캣 재배면적의 증가로 다른 품종의 재배면적은 전체적으로 감소하였다. 거봉 유목 면적은 전년 대비 17.4% 증가하나 성목 면적은 10.1% 감소하여 거봉 재배면적은 전년대비 3.4% 감소한 2,951 ha이다. 두 번째로 면적 비중이 컸던 거봉은 2021년 들어 샤인머스캣 재배면적보다 작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캠벨얼리와 MBA 재배면적은 각각 전년 대비 11.2, 3.6%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5. Baseline results of the harvested area (unit: Thousand ha).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Table_KJOAS_48_04_23_T5.png

MBA, Muscat Bailey A.

Source: KREI, 2021.

Table 6. Baseline results of prices (unit: won).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Table_KJOAS_48_04_23_T6.png

MBA, Muscat Bailey A.

Source: Seoul Agro-Fisheries & Food Corporation, 2021.

포도 타 품종에서 샤인머스캣으로의 품종 전환으로 인해 2021년 샤인머스캣 가격은 하락하고, 캠벨얼리, MBA, 거봉 가격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6). 샤인머스캣으로의 품종 전환 및 신규 유입으로 재배면적이 증가하면서 2021년 샤인머스캣 가격은 전년 대비 14.0% 감소한 2만 1,208원/2 kg으로 나타났고, 캠벨얼리, MBA, 거봉은 재배면적 감소로 생산량이 줄어들면서 각각 전년 대비 15.3, 8.9, 28.3% 상승하였다.

시나리오 영향분석 결과

샤인머스캣 품질 저하로 국내산 샤인머스캣 대신 수입산 포도 구매의향이 높아져 수입량은 5년 평균 18.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7). 베이스라인에는 전체 소비자의 90%는 국내산 샤인머스캣을 선호하고, 나머지 10%는 수입산을 선호하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나 시나리오 1에서는 국내산 샤인머스캣 구매 비중이 80%로 줄어들면서 수입량이 증가하였다. 특히 상반기에는 칠레산, 하반기에는 미국산 포도가 수입되는데 국내산 샤인머스캣은 상반기와 하반기 모두 출하가 되어 미국산과 칠레산 수입 시기가 겹치기 때문에 국내산 샤인머스캣 구매 대체로 미국산과 칠레산 모두를 포함된 결과가 도출되었다.

Table 7. Scenario 1 results of import.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Table_KJOAS_48_04_23_T7.png

샤인머스캣 품질 경쟁력이 약화되면서 국내산 샤인머스캣에서 수입산 포도로소비 전환이 이루어져 샤인머스캣 가격은 평균 29.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 하락에 따른 재배의향의 감소로 재배면적은 평균 8.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약 기타 포도 품종과의 대체 수요를 고려하지 않았다면 샤인머스캣 품질 저하로 인한 가격 하락은 더욱 커질 가능성이 존재한다.

값싼 샤인머스캣 구매 의향이 반영되면서 캠벨얼리, 거봉, MBA 소비량이 감소하여 기타 포도 품종 가격도 같이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8). 이는 샤인머스캣 품질 저하로 인해 샤인머스캣 대신 수입산 포도 구매의향이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캠벨얼리, 거봉, MBA 소비층이 그동안 비싸서 구매를 못했던 샤인머스캣 구매로 일부 전환되면서 기타 포도 품종 가격이 하락한 것으로 추정된다. 캠벨얼리, 거봉, MBA 출하시기는 다르지만, 샤인머스캣 출하시기와는 세 품종 모두 겹치기 때문에 샤인머스캣 가격 하락은 대체관계에 있는 세 포도 품종 소비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캠벨얼리와 거봉에 미치는 파급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샤인머스캣 품질 저하로 샤인머스캣 가격이 하락하면서 기타 과일을 소비하던 소비자가 값이 싸진 샤인머스캣으로 소비가 이동하여 기타 과일가격이 0.22%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타 포도품종의 소비 대체효과와 마찬가지로 기타 과일시장에서도 대체효과로 인한 기타 과일 수요가 다소 감소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Table 8. Scenario 1 results of the harvested area and price.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Table_KJOAS_48_04_23_T8.png

MBA, Muscat Bailey A.

샤인머스캣 품질 저하와 함께 포도 품종 간 차별성이 더 커지는 시나리오 2의 경우, 포도의 수입량이 더욱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Table 9). 이는 포도 품종 간 대체관계가 약해지면 샤인머스캣 품질 저하로 인한 기타 포도 품종 소비 전환보다는 수입에 더 의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상반기의 칠레산과 하반기의 미국산 포도 모두에 수입산 대체효과가 더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9. Scenario 2 results of import.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Table_KJOAS_48_04_23_T9.png

샤인머스캣 품질 저하와 함께 다른 포도 품종의 구매 전환이 약해지면 샤인머스캣 가격 하락폭은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0). 시나리오 1과 같은 정도의 국산 소비자 선호도 하락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포도 품종간의 대체성이 약하다면(즉, 소비자가 포도 품종들이 이질적으로 느낄 때) 시나리오 1보다 평균 11.5%p 더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샤인머스캣 품질 저하로 인한 가격 충격이 더 큰 이유는 샤인머스캣 소비자가 다른 국산 포도 품종을 구매하기보다는 수입산 포도를 더 구매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Table 10. Scenarios 2 results of the harvested area and price.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Table_KJOAS_48_04_23_T10.png

MBA, Muscat Bailey A.

시나리오 1 결과와 비교할 시 2021년 샤인머스캣 가격 하락폭은 더 확대되고 대체관계 약화로 캠벨얼리, 거봉, MBA 가격 하락폭은 소폭 축소되지만, 샤인머스캣 가격의 큰 하락은 다른 포도 품종의 재배면적 의향을 증가시켜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결국 기타 포도 품종 가격도 하락하게 되었다.

민감도 분석

보다 현실적인 논의를 위해 소비자 선호도(δ)와 대체 탄성치(β)를 조정하여 포도 품종별 가격과 수입량이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소비자의 국내산 샤인머스캣 선호도가 낮아지고, 기타 포도 품종 간 상품 차별성이 커질수록 가격이 더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선호도가 시나리오 1 가정(0.8)보다 더 작아지면 가격 하락폭은 더 확대되었다(Table 11). 더욱이 소비자 선호도와 대체 탄성치가 시나리오 1 가정보다 더 작아질 경우 소비자 선호도만 작아질 경우보다 가격 하락폭은 더욱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산 샤인머스캣 선호도가 낮아지면 수입 소비 대체로 가격 하락폭은 커지고, 상품 차별성이 커진다면 가격 하락폭은 더욱 확대됨을 보여준다. 반대로 소비자 선호도는 낮아졌지만 대체 탄성치가 높아진다면 샤인머스캣 품질 저하에 대한 기타 포도 품종 가격 충격이 완화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11. Sensitivity analysis of prices.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Table_KJOAS_48_04_23_T11.png

Bold type represents the results based on scenario assumptions.

Table 12. Sensitivity analysis of imports.http://dam.zipot.com:8080/sites/kjoas/images/N0030480423_image/Table_KJOAS_48_04_23_T12.png

Bold type represents the results based on scenario assumptions.

한편, 소비자의 국내산 샤인머스캣 선호도가 낮아지고 기타 포도 품종 간 상품 차별성이 커질수록 수입량은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2). 소비자 선호도가 시나리오 1 가정보다 작아질수록 수입량은 더 증가하였고, 소비자 선호도와 대체 탄성치가 동시에 더 작아질수록 수입량 증가가 더 확대되었다. 이를 통해 샤인머스캣 품질 저하로 수입의존도가 커지고, 기타 포도 품종 간의 대체소비가 약해지면서 수입량이 더욱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Conclusion

우리나라 주요 과일의 하나인 포도는 최근 침체기를 겪고 있다가 샤인머스캣 품종에 대한 수요 확대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포도 농가들의 품종 전환을 통한 샤인머스캣 재배 면적이 크게 증가하고 품질 관리가 취약해지면서 저품질 샤인머스캣 포도의 시장 유입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분석을 위해 소비자 선호도와 대체 탄성치를 함께 고려할 수 있는 아밍턴 모형을 도입하여 포도 품종별 시장 여건 변화에 따른 영향분석을 실시하였다.

포도의 품종을 고려한 수급모형을 구축하여 분석한 결과, 저품질 샤인머스캣 포도가 시장에 유입되어 소비자들의 실망을 유발하게 되면 수입산 포도의 소비가 증가하고 국내 포도 산업이 상당한 수준의 타격을 입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가 샤인머스캣의 시장 유입은 샤인머스캣 포도의 자체 가격 하락은 물론 다른 품종의 포도와 그 외 과일의 가격 하락도 같이 유발하게 되어 우리나라 과일 산업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추가로 야기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추가로 포도 품종 간 대체관계가 더 약한 경우를 상정하여 분석을 한 결과, 저가 샤인머스캣 포도의 시장 유입으로 인한 샤인머스캣 포도 가격 하락으로 인한 다른 포도 품종으로부터의 대체수요 증가가 약해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수입 포도의 수요가 더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민감도 분석을 통해 포도 소비자의 국내산 샤인머스캣 선호도가 낮아지고 기타 포도 품종 간 상품 차별성이 더 커질수록 수입량은 더 증가하고 샤인머스캣 가격이 더 하락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현재까지 높은 당도와 우수한 식감 등으로 소비자의 인기를 끌고 있는 샤인머스캣 포도에 대한 품질 및 공급 관리가 강화되지 못할 경우, 포도 농가는 물론 우리나라 과일산업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기본적으로 우리나라 포도를 포함한 농산물 시장의 수요가 한정되어 있음을 생산자들이 인지하고 품목별 산지 조직 등을 통해 자율적인 관리의 수준을 더욱 높여 생산 관리체계를 확립해야 할 것이다. 또한 사전 재배면적 관리를 통한 선제적인 대응을 유도하고 품질 기준 수급관리 시스템을 도입하며, 저품질 포도 출하를 자제하는 교육사업과 자율 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홍보 사업 등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샤인머스캣 주산지를 중심으로 거점 농산물산지유통센터(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 APC)를 지정하여 공동선별 및 공동출하를 통한 출하 포도의 품질 관리 시스템을 강화해 나가는 방안도 필요하다. 이러한 정책을 통해 과잉 공급으로 인한 가격 하락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모형의 한계점도 존재한다. 먼저 포도 외 다른 과일의 수급을 일부만 반영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도입된 수치 일부에 높은 수준의 가정이 적용된 한계를 가지고 있다. 포도 품종별 자료 접근에 대한 한계와 기초자료의 샘플 수가 적기 때문에 경제학적 이론 및 가정이 더 도입되어 분석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었다. 또한 포도 외 기타과일 시장을 좀 더 세분화하여 포도 대체효과에 대한 분석을 정교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이에 대한 연구는 차후 연구로 제시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포도를 포함한 우리나라 과일산업에 이슈가 되고 있는 샤인머스캣 포도의 과일 생산 우려에 대한 시장 파급 영향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한 것에 연구적 의의가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향후 포도 품종별 수급모형을 기반으로 과일 품종별 수급모형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Conflict of Interests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농림축산식품부의 ‘포도산업 품종별 공급 및 수요 중장기 전망 연구’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Authors Information

Byung Min Soon, https://orcid.org/0000-0003-0571-9770

Sumin Cho, https://orcid.org/0000-0001-5613-6319

Sounghun Kim, https://orcid.org/0000-0001-7175-8239

References

1 Cho YS, Lee DS, Kim TH, Park SM. 2008. KREI-ASMO 2008 operation and development research model for agricultural sector forecast.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Naju, Korea. [in Korean]  

2 Han SH, Youm JY, Jang HS, Koo SM. 2020. Assessment & implications of the business cessation support system for farmers: Focus on the grape busines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47:533-544. [in Korean]  

3 KAMIS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2021. Price information. Accessed in https://www.kamis.or.kr/customer/main/main.do on 1 July 2021.  

4 Kim JU, Kim SY, Lee YS. 2016. An analysis of substitution relationships between domestic and imported fruits using cyclical function approach.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Policy 43:305-327. [in Korean]  

5 Kim MH, Han SH, Cho JS. 2012. KREI-KASMO 2012 operation and development research model for agricultural sector forecast.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Naju, Korea. [in Korean]  

6 KITA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2021. K-statistics. Accessed in https://www.kita.net/ on 1 July 2021.  

7 KREI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21. Arigultural outlook 2021 Korea. KREI, Naju, Korea. [in Korean]  

8 Lee BH, Song JH, Moon HP, Jeong DH, Park HU. 2013. Welfare analysis of economic agents and distribution analysis of major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after FTA.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Naju, Korea. [in Korean]  

9 Lee HW, Kang DW, Han SH. 2016. An empirical analysis on market differentiation between Hanwoo and imported beef. Journal of Rural Development 39:1-21. [in Korean]  

10 Lee YS, Sin YS, Park JW, Kim SY. 2014. Analysis of changes in fruits consumption patterns and their reasons: Focused on the effects of imported fruit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Naju, Korea. [in Korean]  

11 Moon CG, Hong JH. 2004. Monetary loss estimates of the domestic fruit industry with the effectuation of Korea-Chile FTA. Korea Review of Applied Economics 6:5-48. [in Korean]  

12 Moon HP, Eor MK, Park HU, Oh SH, Jeon IS, Jeon SG. 2012. Strategy in response to Free Trade Agreement (FTA) in agricultural sector: An economic effect analysis of domestic measures related to Korea-Chile FTA.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Naju, Korea. [in Korean]  

13 Seoul Agro-Fisheries & Food Corporation. 2021. Price information. Accessed in https://www.garak.co.kr/main/main.do on 1 July 2021.  

14 Song JH. 2009. Impacts of DDA scenarios on agriculture and countermeasures for DDA.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Naju, Korea. [in Korean]  

15 Soon BM, Thompson W. 2019. Nontariff measures and product differentiation: Hormone‐treated beef trade from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to the European Union. Canadi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Revue Canadienne d'agroeconomie 67:363-377.  

16 Taheripour F, Tyner WE. 2018. Impacts of possible Chinese 25% tariff on US soybeans and other agricultural commodities. Choices 33:1-7.  

17 Thompson W, Charlebois P, Tallard G. 2010. Trades like chicken? Three representations of chicken trade for policy and market analysis. Journal of International Agricultural Trade and Development 6:157-171.  

18 Yoon JY, Park KH, Park HU. 2019. Analysis of impacts on indigenous fruits and fruits-vegetables sector from diversified fruit imports and issues to cope with.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Naju, Korea.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