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칼라는 천남성과(Araceae) 구근식물로 꽃과 잎이 아름다워 고급 화훼로 이용되어 유망한 화훼로 소개되었으나(Welsh, 1986) 구근비용에 비하여 절화수량이 적기 때문에 경제성을 맞추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칼라의 절화 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GA 처리 연구가 수행되어왔으나(Corr and RE Widmer. 1987; Funnell and Go, 1993), 연구결과 대체로 수량이 증가되면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서 실용적이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여름철 고온에 의한 무름병 피해가 심하기 때문에(Mori et al., 1999) 정식시의 구근경도, 생장조절제의 처리농도 및 처리시간에 따라 무름병 발생정도와 개화수량이 달라진다. 그 동안 GA 처리는 대부분 순간침지나 30분 이하의 처리를 하였는데(Choi et al., 2007; Funnell and Go, 1993) 침지시간을 늘이면 침지효과가 보다 균일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근경도, GA농도 및 처리시간에 따른 칼라의 생육 및 개화특성 구명을 위하여 수행하였다.
Materials and Methods
유색칼라 ‘Black Magic’ 품종을 이용하여 구근경도(저경도 3.3 kg/㎠, 고경도 6.0 kg/㎠, 경도: 반복당 10개 3반복 평균), GA3 처리농도(0, 100, 200 ㎎ L-1), GA3 처리시점(정식 24시간 전, 12시간 전, 30분 전)을 각각 달리하여 30분간 침지하여 건조시킨 후 6월 26일에 30×20 ㎝ 간격으로 정식하였다. 정식 후에 50% 차광망을 비가림하우스 위에 씌웠고 관수는 점적관수로 하였다. 기비는 10a당 퇴비 2 MT, 석회 10 kg, N-P-K (10-20-10 kg), pH 6.0인 포장에서 실험하였다. 구근조사는 수확시기별로 9월 20일, 10월 10일, 10월 30일 수확하여 햇빛에 말린 다음 잎줄기와 구근이 분리되었을 때 조사하였다. 실험에 이용한 정식전의 구소질은 2가지로 나누어서 저경도(3.3 kg/㎠)의 구근은 구경 3.5 ㎝, 구고 1.3 ㎝, 구중 16.5 g 이었고 고경도(6.0 kg/㎠)의 구근은 구경 4.0 ㎝, 구고 1.4 ㎝, 구중 22.5 g의 구근을 이용하였다. 시험구배치는 난괴법 3반복으로 하였다.
Results and Discussion
고경도 구근(6,0 kg/㎠)의 생육특성으로 초장은 정식 24시간 전 GA3 200 ㎎ L-1침지처리구에서 78.5 cm로 가장 낮았고 다른 처리구에서는 86.4-81.9 ㎝으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1). GA3처리에 따른 엽수는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절화장, 절화중, 화경경은 초장과 같은 경향으로 GA3을 침지하면 생장량은 감소하나 절화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일반적으로는 GA3처리를 하면 엽면적, 엽수가 줄어든다고 보고(Funnell and Mackay., 1987)된 바 있는데, Choi et al. (2005)은 GA3침지농도와 시간에 따라 생장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일부 GA3처리에서 초장이 길게 나타났다고 보고하는 등 본 실험과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평난지와 고랭지의 환경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추후 보다 심도 있는 비교검토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저경도 구근(3.3 ㎏/㎝2)의 생육반응으로 초장은 무처리와 정식 30분전 GA3 100 ㎎ L-1침지구에서 79.5-82.0으로 가장 길었고 그 나머지는 차이가 없었다(Table 2). 절화장, 절화중, 화경경은 GA3을 침지하면 생장량은 감소하나 수량이 증가하였는데 이 결과는 초장과 같은 경향이었다(Table 1, 2). 구근류는 일반적으로 구근크기에 따라 생장량이 결정된다고 알려져 있다(Funnel, 1993). 본 시험에서도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구경이 각각 4.0, 3.5 ㎝로서 결국은 구근직경이 큰 것이 생장량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1, 2). 고경도 구근(6 ㎏/㎝2)과 저경도 구근(3 ㎏/㎝2)의 생육차이는 구근 크기가 달라서 직접 비교하는 것은 문제가 있으나 구근경도에 따른 생장차이는 없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고경도 구근의 주당 절화수량은 무처리 2.1개 보다 정식 24시간 전 GA3 200 ㎎ L-1 침지에서 5.6개로 가장 많았고, 다른 처리구는 4개 내외로서 대체로 GA3처리농도와 처리시기에 비례하는 경향이었다(Table 3). 이러한 결과는 GA3를 16시간 침지하여 처리농도와 침지시간에 따라 개화수가 증가하고 24시간 이상 장시간 침지 할 경우 유의성이 인정 되었다는 Brooking and Cohen (2002)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으나 GA3침지시간에 따른 개화수량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는 보고(Funnell et al., 1991; Choi et al., 2005)와는 다르게 나타났다(Table 3).
저경도 구근의 절화수량은 무처리구 1.0개보다 GA3 100, 200 ㎎ L-1의 모든 처리에서 3-4개로 유의하게 많았으나 GA3처리구 내에서는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Table 3). 구근경도에 따른 수량을 비교하면 대체적으로 고경도 구근에서 수량이 약 1개 정도 많았다(Table 3). 이 결과는 구근경도의 차이가 아니라 정식 시 구근 크기에 따른 차이라고 생각되었다. 따라서 Welsh et al. (1988)이 보고한 것과 같이 구근크기가 클수록 수량이 증가되는 결과와 일치함을 간접적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Table 3). 고경도 구근(6 ㎏/㎝²)의 경우, GA3처리농도와 시기에 따른 무름병 발생은 무처리, GA3 100 ㎎ L-1+30분전, GA3 200 ㎎ L-1+30분 전 처리에서 무름병 발생은 나타나지 않았고 GA3 200 ㎎ L-1+24시간 전 침지를 비롯한 나머지 처리에서 5%정도의 무름병이 발생하였다(Table 3). 나머지 처리에서는 무름병이 10-18% 발생 되었고 GA3 100 ㎎ L-1, 24시간 처리에서는 전혀 발생 하지 않았다. 즉, GA3처리는 구근경도에 따라 무름병 발생정도가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Table 3).
한편, 저경도 구근(3.3 ㎏/㎝²)의 처리구에서는 12시간 전 GA3 100 ㎎ L-1농도의 침지처리구에서 무름병이 나타나지 않아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하지만 GA3처리농도에 따라 무름병 발생이 증가한다고 단정할 수는 없고 처리시기에 따라 무름병 발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저경도 구근처리구(Table 3)의 GA3처리 농도와 시기에 따른 무름병은 무처리에서 5%가 발생되었고 GA3 200 ㎎ L-1, 24시간 전 처리에서 90%이상 발생되었다.
GA3처리 농도와 시기에 따른 상품비율은 고경도 구근에서는 90% 정도로 상당히 높은 편이었는데 정식 30분전 GA3 100, 200 ㎎ L-1침지 처리구에서 100%로 가장 높았다(Table 4). 그러나 저경도 구근에서는 GA3처리농도와 시기에 따른 상품비율의 차이가 상당히 심하게 나타났다(Table 4). 이러한 결과는 상품에서 무름병 발생률을 뺀 수치로서 GA3 100 ㎎ L-1, 12시간 전 처리에서 상품률이 100%로 가장 높았고 GA3 200 ㎎ L-1, 24시간 전 처리는 10%이하로 극히 적었으며 그 나머지는 80-90%로 나타났다(Table 4).
고경도 구근의 절화수량(10 a당 절화수량으로 환산)은 GA3 200 ㎎ L-1,24시간 전 처리에서 가장 많았고 저경도 구근의 절화 수량은 GA3 200 ㎎ L-1, 12시간 전 처리에서 가장 많았다(Table 4). 하지만 고경도 구근의 수량이 저경도 구근의 수량보다 10,000본 이상 수량이 많았는데, 이것은 Welsh et al., (1988)이 밝힌 구근크기에 따라 수량이 증가한다는 것과 같은 결과라고 생각되었다. 정식 전 구소질 중에서 고경도, 저경도 구경은 각각 4.0, 3.5 cm로 고경도에서 큰 구근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수량이 증가한 것으로서, 경도에 따른 수량 증가는 아닌 것으로 생각되었다.
절화수량은 고경도 구근에서 10 a당 절화수량으로 환산할 경우 24시간 전 GA3 200 ㎎ L-1처리에서 58,047본/10 a로 가장 많았고 저경도 구근에서의 절화 수량은 12시간 전 GA3 200 ㎎ L-1처리에서 40,343본/10 a로 가장 많았다(Table 4). 또한 고경도 구근에서 저경도구근보다 10,000본 이상 수량이 많았는데, 이것은 Welsh et al., (1988)이 밝힌 구근크기에 따라 수량이 증가한다는 것과 같은 결과라고 생각되었다. 즉 정식 전 고경도 구근과 저경도 구근의 구경은 각각 4.0 cm와 3.5 cm로 고경도에서 상대적으로 더 큰 구근을 사용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었다.